인쇄칼럼

인쇄할 때 꼭 알아야 하는 주의사항 8가지

요즘 책을 만들거나 디자인 포트폴리오 인쇄할 때, 시각 편집 디자인을 할 때, 리플렛, 배너, 홍보물을 제작할 때 PDF 파일 변환할 때, PDF 파일을 만들 때 등 다양한 이유로 어도비 인디자인을 많이 사용합니다.
편집 디자인 실무 작업을 다 완료했다면 남은 순서는 바로 인쇄입니다.
하지만 설정 하나 잘못했다가는 내용이 빠지기도 하고 색이 이상해지기도 하고, 인쇄 설정을 할 때에는 신중에 신중을 가해야 합니다.
인디자인을 하면 꼭 알아야 할 인쇄할 때 주의해야 할 설정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실제로 인쇄를 진행할 때는 여러 가지 주의할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출력, 인쇄 서비스 업체와 상의해야 할 부분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항목들을 주의하여 마무리하세요.

1. 중요한 글자나 로고를 재단선에 너무 가까이 붙이지 마세요.

여러 장의 종이를 한꺼번에 재단하므로 재단선에서 1~2mm 정도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재단선에 글자나 로고가 너무 가까이 있으면 재단 밀림 발생 시 잘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글씨나 로고는 재단선 안쪽 3~5mm 안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2. 바탕색 등의 전체를 채우는 그래픽은 재단선 밖으로 여백을 주세요.

작업선까지 색을 가득 채웁니다. 재단선에 딱 맞춰 색을 채우면 재단 밀림 발생 시 종이색이 나올 수 있습니다.

3. 테두리가 있는 디자인의 경우 획 두께는 3mm 이상 지정하세요.

획 두께가 너무 얇으면 재단 시 선이 잘리거나 선의 차이가 눈에 띄게 크게 보일 수 있습니다.

4 작은 회색 글씨, 검정 글씨는 먹(K)을 사용하세요.

작은 글씨에 여러 가지 색이 섞일 경우, 인쇄 핀이 정확히 맞지 않으면 선명하고 깨끗하게 인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될 수 있으면 검정 글씨는 ‘K=100’으로 작업하고 회색은 먹(K) 농도를 조절해서 작업합니다.
단, K가 10% 이하로 설정되면 망점이 보일 수 있으며 얇거나 작은 글자는 선명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리치 블랙 사용 시 주의하세요.

검정보다 진한 검정을 만들기 위해 C=30, K=100처럼 설정하는 경우 작은 글자 등은 핀이 맞지 않아 인쇄 품질이 떨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리치 블랙을 사용했을 때 문제가 없을지 확인하세요. 또한 같은 농도로 저장된 리치 블랙도 인쇄 시에는 페이지별로 색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잉크가 빨리 마르지 않아 생기는 뒷 묻음 현상도 주의하세요.

6. 서체는 아웃라인 처리하세요.

PDF로 보내지 않을 책 표지나 명함과 같은 낱장(Sheet) 형식의 출판물은 글꼴을 선택하고 메뉴에서 〔문자〕 → 윤곽선 만들기를 실행해서 변환하여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7. 삽입된 이미지를 다룰 땐 유의하세요.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작업은 CMYK 색상 모드에서 300dpi 해상도로 작업합니다. 고화질의 사진 촬영 데이터나 웹용 이미지는 RGB 색상 모드이므로, CMYK 색상 모드로의 변환 여부를 확인하세요.

8. CMYK 색상 모드를 체크하세요.

별색을 추가하려는 특수한 목적이 아니라면 별색(DIC, PANTONE, TOYO 등)을 CMYK로 변환하여 저장해야 합니다. 색을 CMYK로 변환할 때 색상이 조금씩 변경되므로 변환 후 반드시 색상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