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본이란?
기획 단계에서는 인쇄물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합니다. 대상 독자나 시청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리고 원하는 반응을 고려하여 컨셉을 구체화합니다.
디자인의 주제와 내용을 정의하며, 전략적인 마케팅 요소를 반영합니다.
접지제본
사각 인쇄물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접어주는 가공
주로 리플렛 alv 팜플렛 등에 사용되는 제본형태로 용지를 원하는 크기로 접지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접지의 종류에는 반접지, 3단접지, 4단접지, 십자접지, 대문접지, 두루마리접지 등이 있으며,
접지시에 사용하는 용지가 150g 이상이 되면 접지됨는 부분이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오시 후가공을 통해 접지를 하는 것이 깔끔하지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됩니다.
중철제본
인쇄물 중앙에 철심을 찍어 결속시키는 가공
중앙 페이지의 접힌 면, 두 곳에 철심을 찍어서 제본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페이지가 많지 않고 내지의 두께가 얇을 때 많이 사용되는 제본입니다.
카다로그나 팜플렛 같은 간단한 인쇄물에 사용되며, 장점으로는 운반이 용이하고 책의 펼침이 좋습니다.
다만 중철의 페이지는 4의 배수로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무선제본
재단 된 면에 접착제를 사용해서 고정시켜 표지를 따로 붙이는 가공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제본방법입니다.
중철제본과는 달리 정해져 있는 페이지 한계가 따로 없으며 제조공정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잡지나 도서, 학습지, 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잇습니다.
그러나 용지가 두꺼운 경우에는 잘 펴지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양장제본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형이 적어 형태보존이 가능한 가공
두꺼운 판지를 표지로 사용하고, 내지는 실로 묶어서 내구성을 강화한 제본방식입니다.
사용하는 기계를 사철기라고 해서 사철양장이라는 표현으로도 쓰이기도 합니다.
주로 고급 서직이나 백과사전 등 오랜시간을 두고 보는 책을 제본할 때 많이 쓰이며, 다른 제본방법들에 비해서 튼튼하고 보관성이 좋습니다.
다만 제작시간이 다른 제본에 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이 보다 많이 듭니다.
미싱제본
박음질 위치에 따라 하나의 디자인으로 보여질 수 있는 가공
얇은 브로슈어 또는 카다로그, 도록이나 포토폴리오 북 등에 미적요소를 가미한 제본 방식으로
표지 또는 내지 가운데의 색상에 따라 미싱하는 실의 색상도 정할 수 있어 미적감각이 돋보이는 제작방식입니다.
펼침이 좋고 넘김이 좋으나 용지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첫장과 안쪽장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비교적 얇은 종이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떡제본
풀제본, 재단된 한 면에 접착제를 발라 종이를 결속시키는 가공
낱장제본이라고도 불리며, 낱장을 접지 않고 측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고정시키는 제본형식입니다.
무선제본과 유사한 방식처럼 보이지만, 떡제본은 한 장 한 장 낱장으로 분리되다 보니 수량파악이 쉽다는 장점 때문에
주로 회사 양식지나 서류, 빌지, 메모지 등에 자주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무선제본보다 비용은 저렴하지만 내구성이 좋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링 제본
재단된 인쇄물을 타공 후 스프링을 끼워 종이를 결속시키는 가공
편리하게 페이지를 넘길 수 있도록 순서대로 추려서 인쇄물의 첫 장부터 끝까지 같은 간격으로 타공 후에 스프링을 끼우는 제본방식입니다.
주로 노트나 다이어리, 보고서, 제안서, 연습장, 캘린더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링의 종류(와이어, 코일, 플라스틱)와 색이 다양합니다. 주의할 사항은 타공하여 링을 결합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여분을 두고 디자인을 해야하며,
각 페이지의 사방을 재단하기 때문에 디자인할 때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이밖에도 무산제본처럼 접착제를 이용하는 과정은 동일하나 접지물의 책등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내서 그 구분에 접착제를 흡수되도록 하는 방식인 아지노 제본,
풀리우레탄 접착제(친환경소재)를 사용해 접착하는 방식으로 무선제본의 단점을 보완하여 펼침성과 낱장으로도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PUB제본 등 세부적으로 여러 가지 제본이 더 있습니다.
지금까지 책 제작의 마무리 단계인 제본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제본 종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제작하시려는 인쇄물의 사양과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제본방식을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